권영상의 첫 산문집 <뒤에 서는 기쁨> 중에서
우편물을 부치러 우체국에 들렀다가 까닭 없이 그 길로 이천행 버스에 올랐다. 16년 전이다. 이천에서도 시내버스로 30분은 더 가는 시골 학교에 잠시 머무른 적이 있었다. 그곳이 가끔은 그리웠다.
그러나 찾아간 그곳은 이미 기억 속의 마을이 아니었다. 아파트도 섰고, 면사무소는 잔뜩 위용을 갖춘 3층 빌딩으로 바뀌어 있었다. 예전에 즐겨 가던 대폿집과 늘 점심을 먹던 식당을 찾았지만 모두 사라지고 없었다. 잠시 근무하던 학교도 많이 변해 있었다. 체육 시간이면 아이들과 함께 곧잘 가던 개울가를 찾았다. 예전 같으면 아이들로 붐볐을 개울도 싱겁게 누워 있었다.
불현듯 건너편 개울둑 너머에서 올라온, 발가벗은 어린아이 하나가 쫓기듯 개울물에 덤벼들었다. 그 뒤를 따라 아이의 엄마임 직한 바구니를 옆에 끼고, 차양이 긴 모자를 쓴 여인이 아이를 쫓아 개울물에 들어섰다. 잠시 뒤 여인은 아이를 달래며 내 곁을 조용히 지나갔다. 옥수수와 가지를 따 담은 바구니를 힘겹게 옆구리에 낀 채로.
나는 엄마와 아이의 뒷모습을 물끄러미 바라보았다. 근데 몇 걸음을 가던 여인이 모자를 벗은 채 고개를 갸웃하며 되돌아왔다.
“저, 혹시…….”
그렇게 말하는 여인의 입모습이 왠지 낯익었다.
“옥자라고 아세요? 6학년 때.”
여인은 부끄러운 듯 자신을 소개했다.
맞았다. 그러고 보니 대숲집 옥자였다.
“선생님, 한눈에 몰라 뵈어 죄송해요.”
그 옥자가 지난 시절 이야기를 꺼냈다.
“선생님께서는 제가 소리 내어 책을 읽고 나면 늘 그러셨지요. 목소리와 입모습이 참 예쁘다고. 그러면서 절 보고 뭐라 하셨는지 아세요? 아나운서감이라고 하셨지요.”
말을 마치고 옥자가 피식 웃었다.
서른이 넘은, 시골 아낙이 다 된 자신이 부끄럽다는 듯한 웃음 같았다.
“요즘도 뉴스를 볼 때면 가끔 선생님 생각을 해요.”
논밭 사잇길을 걸어 마을로 돌아오면서 이번에는 내가 부끄러웠다. 당당히 농부의 아내가 되지 못하게 한 게 내 책임 같았다. 그동안 어쩌면 옥자는 현실을 살면서 또한 구름 위의 세상을 살아왔을지도 모른다.
“내가 말을 아무렇게나 했구나.”
내 말에 옥자가 야무지게 대답했다.
“지금은 농사일을 하겠지만 다음에는 꼭 할 거예요.”
“다음이라니 언제?”
나는 놀란 눈으로 물었다.
“다시 태어나면요.”
그가 당돌하게 대답했다.
나는 더 이상 할 말을 잃고 어금니를 꾹 물었다.
사람은 무슨 힘으로 사는가.
버스를 타고 돌아오면서 내내 그 생각을 했다.
동화 · 동시 작가 권영상의 첫 산문집 <뒤에 서는 기쁨> 중에서